전통 & 문화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통한옥 기와 사이 환기 채널 설계로 결로 방지하기 전통한옥 지붕은 아름다운 곡선 아래에 숨어 있는 공기 통로 덕분에 수백 년을 버텼다. 실내에서 올라온 따뜻한 수증기가 기와 밑면에서 식어 물방울로 변하면, 서까래·도리·합판은 빠른 속도로 부패한다. 현대 목조건축은 기밀화를 추구하면서 이 자연통풍 구조를 잃고, 겨울마다 결로와 곰팡이 피해를 되풀이한다. 건축주는 비싼 화학 방습막을 겹겹이 붙이지만, 공기 순환이 없으면 근본 해결이 어렵다. 본 글은 기와와 기와 사이에 ‘환기 채널(숨길)’을 설계해 결로를 사전에 차단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필자는 실제 현장에서 얻은 열·습도 데이터와 유체 해석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채널 단면적·배치·방충 디테일·모니터링 방법을 제안한다.이슬점·상승풍·단면적의 상관관계연구자는 서울 기후 데이터를 분석해, 실내 20 °C.. 기와와 친환경 단열재 간 접착·결합 공법 연구 기와를 해체하지 않고도 단열 성능을 강화하려면 기와 하부에 친환경 단열재를 덧대는 방식이 가장 현실적이다. 그러나 현장 목수는 “기와와 단열판이 제각기 숨을 쉬다 보니, 한겨울에 층간이 벌어지고 여름 장마엔 접착 층이 썩는다”라고 토로한다. 실제로 기와는 점토 세라믹으로서 pH 8 안팎의 알칼리성을 띠고, 목재 섬유판이나 헴프 울은 pH 7 초반의 약산성·약알칼리성 영역에 머문다. 게다가 두 재료의 열팽창계수는 7 × 10⁻⁶ K⁻¹ : 40 × 10⁻⁶ K⁻¹로 네 배 이상 다르다. 이 물성 차이를 무시하고 시공하면 동결 · 융해, 열충격, 수분 팽창에 따라 층간 전단력이 발생해 박리가 일어난다. 본 글은 전통 기와와 친환경 단열재를 화학적·물리적·생물학적 측면에서 공존시키는 접착·결합 공법을 고찰한다.. 친환경 단열재 종류별 물성 비교 ― 목재 섬유·헴프·셀룰로오스 전통 한옥을 현대적 저탄소 주거로 바꾸려면 기와 바닥에 놓일 단열층 선택이 핵심이다. 목조건축 연구자는 단열재를 선택할 때 열전도율, 비열, 투습저항, 탄소발자국까지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필자는 현장 실험과 자체 시험 데이터를 통해 목재 섬유, 헴프 울, 재활용 셀룰로오스 세 가지 재료를 직접 비교했다. 세 소재 모두 화학 발포제 대신 식물성·재생 원료로 만들어져 기와의 ‘숨쉬기 구조’를 방해하지 않지만, 열·습도 성능과 시공 방법에서 뚜렷한 차이가 난다. 본문 네 단락에서는 △목재 섬유판의 고비열 완충 메커니즘 △헴프 울의 초저탄소 순환성 △셀룰로오스 분사 충진의 틈새 제로 구조 △세 소재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설계 가이드를 순차적으로 다룬다. 글을 읽는 건축가는 각 프로젝트의 기후·예산·시공성에 맞.. 기와지붕의 열·습도 조절 특성 분석 기와지붕이 보여 주는 열·습도 조절 능력을 ‘건축구조가 아닌 실질적 공조 장치’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대다수 사람은 기와를 단순히 비를 막아 주는 외피로만 인식하지만, 기와는 흙과 불이 만든 세라믹 다공체라는 점에서 이미 복합 기능 재료다. 이 다공체는 여름에는 열 완충층이 되고, 겨울에는 습기 완충조로 작동한다. 기와 내부 기공과 기와 사이 공극은 공기를 가두고, 그 공기는 열전달을 늦추며 수증기를 일시 저장한다. 전통 한옥은 이 원리를 이용해 하루 최대 15 ℃의 외기 온도 변화를 실내 체감 4 ℃ 이내로 완화했다. 오늘날 고단열 신축 주택이 기계식 환기에 의존해 ‘밀폐 건조’ 문제를 겪는 것과 달리, 한옥은 기계 장치 없이도 쾌적성을 확보했다. 본문 네 단락은 △기와 미세 기공 구조와 열전달 메커.. 전통 기와의 역사적 의미와 현대적 재조명 오늘날 한국 사회는 기후 위기와 도시 과밀, 그리고 문화 정체성 상실이라는 세 가지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다. 많은 건축가는 대안을 찾기 위해 과거 자료를 탐독하고, 일부 연구자는 한옥 지붕 위에 얹힌 전통 기와에서 독창적 해법을 발견한다. 전통 기와는 흙·불·사람의 손끝으로만 완성되는 친환경 재료이며, 수백 년 동안 폭우·혹한·무더위를 견디며 축적한 데이터베이스 그 자체다. 본 글은 전통 기와가 지닌 역사·기술·친환경성을 재조명하고, 현대 단열 기술과 융합하여 탄소 저감형 지붕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서론에서 문제의식을 제시하고, 이어지는 네 문단에서 △문화적 상징성 △역사적 기술 축적 △현대적 혁신 사례 △미래 전망을 순차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전통 기와의 가치가 과거 유산을 넘어선 미래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