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07/08

(2)
도시 한옥 리모델링 시 단열 보강 전략 서울·전주·대구 등 구도심 골목마다 남은 한옥은 뜨거운 여름 볕과 칼바람 같은 겨울 한파, 그리고 일조권·도로사선·소음 규제라는 도시 환경 삼중고에 시달린다. 건축주는 한옥의 정서적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1차 에너지 소비량·열관류율·공기조화 효율을 법정 기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그러나 도심 필지는 대개 필지 폭이 5–7m에 불과해 외단열 두께를 늘릴 공간이 없고, 사업부지 인접 건물과의 이격거리가 60 cm 남짓이라 시공 여건도 열악하다. 필자는 “좁은 틈을 공략하되, 기와와 목구조의 호흡을 해치지 않는 하이브리드 단열”이라는 해법을 현장 여러 곳에서 검증했다. 본문 네 단락은 △도시 한옥 리모델링의 제약 조건 분석 △지붕·벽·바닥 외피 단열 강화 디테일 △기밀‧열교 차단과 자연환기 균형 설계 △비용‧규..
전통한옥기와 이중지붕(투막구조) 시공법 및 장단점 전통한옥 한국 전통 목조건축은 혹서와 혹한이 반복되는 기후대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지붕에 특별한 응답을 남겼다. 장인은 기와 한 겹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했고, 결국 장인은 기와를 두 줄 겹쳐 올리는 투막(二重幕) 구조, 곧 이중지붕을 창안했다. 토막 구조는 아래층 기와가 영구적인 방수·방습 막을 형성하고, 위층 기와가 태양열·풍우를 1차로 받아 내는 방식이어서, 결과적으로 지붕 속에 공기층과 음영층을 동시에 마련한다. 최근 건축가는 패시브 디자인이 강조되는 에너지 전환 시대에 투박 구조를 재조명하고 있다. 토막 구조가 자연적 열차폐층과 통풍층을 제공하면서도, 문화재적 미감을 보존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투막 기와의 시공 절차와 세부 디테일을 재해석하고, 장점·단점을 균형 있게 분석해, 현대 한옥 리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