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 경제

K푸드 짝퉁, 이제는 동남아까지? 정부와 식품업계가 움직인다

반응형

최근 몇 년 사이, K푸드 짝퉁 문제가 심각한 사회·경제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 식품의 인기가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불닭볶음면비비고 만두, 청정원 맛소금, 다시다 같은 대표 제품들을 교묘하게 모방한 K푸드 위조상품이 중국과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불법 유통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주요 식품기업들이 협력해 짝퉁 근절에 나서고 있으며, 해외 시장에서의 한국식품 지식재산권(IP) 보호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K푸드짝퉁

[목차]

  • 1. K푸드 짝퉁, 세계로 번지는 위협
  • 2. 대표 브랜드 피해 사례
  • 3. 정부와 업계의 공동 대응
  • 4. 해외 시장에서의 K푸드 이미지 타격
  • 5. 브랜드 보호와 소비자 역할

1. K푸드 짝퉁, 세계로 번지는 위협

K푸드 열풍이 거세지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식품 브랜드들이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인기를 노린 짝퉁 K푸드도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 중국은 물론, 베트남·태국·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비슷한 로고, 유사한 포장 디자인으로 소비자를 혼란시키는 위조품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판매자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정품을 진열하면서도 온라인 주문 시에는 모조품을 발송하는 등의 교묘한 수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지식재산보호원에 따르면, K푸드 위조상품 적발 건수는 2021년 1,312건에서 2024년 2,609건으로 약 두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2. 대표 브랜드 피해 사례

가장 대표적인 피해 브랜드는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입니다. 중국 내에서는 제품명, 패키지 색상, 심지어 닭 캐릭터 디자인까지 모방한 제품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맛은 원조와 다르지만 외형이 거의 동일해 소비자가 쉽게 속을 정도입니다.

또한 CJ제일제당의 ‘비비고’, ‘백설’, ‘다시다’, 그리고 대상 청정원 브랜드의 ‘맛소금’, ‘미역’, ‘액젓’ 등도 짝퉁이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CJ는 베트남에서 ‘서울’이라는 이름의 유사 브랜드가 백설의 옛 로고를 베껴 판매한 사례를 적발하기도 했습니다. 대상 또한 동남아 시장에서 ‘조미료’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모조품이 퍼지고 있어 정품과 위조품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3. 정부와 업계의 공동 대응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식품업계가 손을 잡았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은 식품산업 지식재산권(IP) 보호와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년 중 제도 개선 및 실질적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CJ제일제당, 삼양식품, 대상 등은 중국 법원에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하고, 현지 유통망 단속을 강화하는 등 공동 협의체를 구성하여 적극 대응 중입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패키지와 제품 구성이 거의 동일해 소비자들이 정품을 구별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국제 공조를 통한 강력한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4. 해외 시장에서의 K푸드 이미지 타격

K푸드의 위조는 단순한 저작권 침해를 넘어, 한국 브랜드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품질이 떨어지는 짝퉁 제품이 ‘한국산’으로 인식되면, 현지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게 되고 브랜드 이미지가 훼손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K푸드 수출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해외 진출 식품의 경우, 국제 상표권 등록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짝퉁이 불법 유통되기 전에 법적 권리를 선점해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5. 브랜드 보호와 소비자 역할

기업들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소비자들도 정품 구매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하며, 가격이 지나치게 저렴하거나 포장이 조금이라도 다른 제품은 의심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해외 직구나 온라인 플랫폼 이용 시 공식 판매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정부와 업계는 정품 인증 마크를 확대하고, 온라인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위조 식품 차단 시스템을 구축 중입니다. 앞으로는 블록체인 기반의 식품 이력 추적 기술이 도입돼 소비자가 정품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푸드

🔎 마무리

K푸드 짝퉁 문제는 단순한 모방을 넘어, 한국 브랜드의 신뢰와 국가 이미지를 위협하는 국제적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지금이 바로 정부, 기업, 소비자 모두가 협력해 ‘정품 K푸드’의 가치를 지켜야 할 때입니다. K푸드의 세계화는 더 이상 단순한 수출이 아니라, ‘브랜드 신뢰를 수출하는 과정’이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