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생산가능인구 70% 붕괴, 한국 인구 구조의 전환점 2024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는 대한민국 인구 구조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음을 보여준다. 전체 인구는 5,180만 명으로 전년도와 큰 차이는 없지만, 내용상에서는 심각한 구조적 변화가 감지된다. 가장 큰 변화는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비중이 처음으로 70% 아래로 떨어졌다는 점이다. 동시에 외국인 거주자는 200만 명을 넘어섰고, 고령 인구와 유소년 인구의 비율에도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이 같은 인구 구조의 변화는 경제와 사회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부와 국민 모두가 그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1. 한국 생산가능인구 70% 붕괴의 의미1-1. 생산가능인구란 무엇인가생산가능인구란 일반적으로 경제활동이 가능한 연령대, 즉 만 15세에서 64세까지의 인구를 말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