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카카오, 2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
카카오가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깜짝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광고와 커머스 사업의 호조가 매출과 영업이익 성장을 견인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카카오는 2분기 매출 2조 283억 원, 영업이익 1,859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무려 39%나 늘어났습니다.
이번 실적 호조는 특히 플랫폼 부문이 크게 기여했습니다. 게임·엔터테인먼트 등 콘텐츠 부문이 다소 부진했지만, 광고와 커머스 매출이 이를 상쇄했습니다. 카카오톡 기반의 광고 플랫폼 ‘톡비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5,421억 원을 기록했고, 선물하기·톡딜 등 커머스 매출은 2,212억 원으로 10% 증가했습니다. 모빌리티·페이 등 기타 플랫폼 매출 역시 21% 상승해 4,348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2. 하반기 성장 키워드는 ‘AI’
카카오는 하반기 전략의 중심에 **AI(인공지능)**를 두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에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탑재해 국내 B2C AI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온디바이스 AI’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연산을 처리하는 기술로, 빠른 응답 속도와 보안성이 강점입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7일 진행된 콘퍼런스콜에서 “하반기는 카카오의 AI 대전환기 서막”이라며 “모바일 생태계에서 가장 압도적인 플랫폼 위에 다양한 AI 서비스를 선보여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첫 번째 B2C AI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오픈AI와 협업해 개발 중인 AI 에이전트를 9월 ‘이프카카오’ 행사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톡 안에서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액션을 제안하고, 필요한 작업을 톡 안에서 완료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3. 오픈AI 협업과 AI 생태계 확장
카카오는 단순히 AI 기능을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플랫폼 생태계를 확장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초기에는 카카오톡과 카카오 자체 서비스(페이, 모빌리티 등)와의 연동을 우선 지원하지만, 추후 외부 파트너들과 협력해 다양한 버티컬(Vertical) 서비스를 연결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AI 기술을 카카오톡 중심의 슈퍼 앱(Super App) 전략과 결합해, 이용자의 생활 전반을 카카오 플랫폼 안에서 해결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카카오는 광고·커머스·결제·모빌리티·콘텐츠 소비까지 모두 AI 중심의 생태계로 묶게 됩니다.
4. 카카오톡 대대적 개편 예고
하반기부터 카카오는 카카오톡 서비스 전면 개편에 나섭니다. 9월부터 친구탭과 숏폼탭을 강화해, 사용자가 특별한 목적이 없어도 자주 방문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발견할 수 있는 ‘탐색형 공간’으로 변모시킬 예정입니다. 숏폼 콘텐츠 소비를 촉진하고, AI 추천 알고리즘을 결합해 개인 맞춤형 정보와 상품을 노출하는 전략이 예상됩니다.
5. AI 전략이 주가에 미친 영향
예상보다 좋은 실적과 공격적인 AI 전략 발표는 카카오 주가에도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발표 당일, 카카오 주가는 전일 대비 11.9% 급등한 6만 3,600원으로 마감하며 6만 원대를 회복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카카오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음을 보여줍니다.
6. 카카오 AI 전략의 의미와 전망
카카오의 이번 AI 중심 전략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사업 구조 전환에 가깝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메신저 플랫폼 ‘카카오톡’을 AI 허브로 전환함으로써, 광고·커머스·콘텐츠·금융 등 모든 비즈니스 영역을 AI 기반으로 재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디바이스 AI 기술은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와 반응 속도 개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글로벌 AI 경쟁에서도 차별화 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오픈 AI와의 협업 역시 글로벌 AI 생태계와 국내 플랫폼의 결합이라는 상징성을 지니며, 향후 해외 시장 확장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정리
카카오는 이번 2분기 실적을 통해 여전히 강력한 플랫폼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특히 광고·커머스 부문의 성장과 AI 중심의 하반기 전략은 주가 반등과 시장 기대감을 동시에 이끌어냈습니다. 앞으로 카카오톡이 AI 허브로 진화하며, 이용자 경험과 플랫폼 가치를 어떻게 높일지 주목됩니다.
이번 사례는 국내 IT 기업들이 AI를 단순한 ‘기능’이 아닌 ‘플랫폼 혁신의 핵심’으로 삼고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카카오의 다음 행보가 국내 AI 산업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신용등급 하락, 대출 문턱 높아져…생태계 붕괴 위기 (1) | 2025.08.09 |
---|---|
시금치 78%, 열무 57% 폭등… 2025년 여름 장보기가 두려운 이유 (2) | 2025.08.06 |
2025년 8월 증시 폭락 원인 분석: 양도소득세 개편과 투자 전략 (3) | 2025.08.03 |
50대 재취업 가능한 직업 10가지!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1) | 2025.07.31 |
2025년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금액,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 (1) | 2025.07.31 |